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아는 기자, 아자 정치부 송찬욱 기자 나왔습니다. <br> <br>Q. 윤석열 대통령이 출근길 문답을 중단한 이유가 '불미스러운 일' 때문이라고 했어요. 그 불미스러운 일이 정확히 뭔가요? <br> <br>지난 18일에 있었던 출근길 문답 현장에서 벌어진 일입니다. <br> <br>지난 동남아 순방 당시 MBC의 전용기 탑승을 배제한 데 대해 윤석열 대통령이 한미 동맹을 가짜뉴스로 이간질하려는 악의적 행태 때문이라고 했죠. <br> <br>이후 퇴장하는 대통령을 향해 MBC 기자는 고성을 질렀고, 대통령실 참모와 설전도 벌였습니다. <br> <br>[MBC 기자 (지난 18일)] <br>"MBC가 뭐가 악의적이라고 했다는 거죠? 뭐가 악의적이에요?" <br> <br>[MBC 기자 (지난 18일)] <br>"증거를 내놓으라고요. 내놓지도 못하면서." <br> <br>[이기정 / 대통령 홍보기획비서관 (지난 18일)] <br>"아직도 이렇게 듣네." <br> <br>[MBC 기자 (지난 18일)] <br>"아직도? 그럼 뭐 지금 군사정권이에요? 아직도라뇨." <br> <br>[이기정 / 대통령 홍보기획비서관 (지난 18일)] <br>"왜 군사정권이라는 얘기가 나와요?" <br> <br>비서관과의 설전도 설전이지만 문답을 마치고 돌아서 가는 대통령 뒤에다 소리치듯 공격적인 질문을 한 게 문제라는 겁니다. <br> <br>소통의 장을 공격의 장소로 악용했다, 그래서 '불미스럽다'는 게 대통령실 설명입니다. <br> <br>Q. 한 번 때문은 아닌 것 같아요. 지난 9월 미국 뉴욕 당시 대통령 발언 보도 때부터 갈등이 쌓인 거잖아요? <br><br>지난 9월 대통령 발언 관련 MBC 보도가 문제가 됐고요. <br> <br>이후 MBC PD수첩이 김건희 여사 관련 방송에서 대역을 사용했음을 고지하지 않아 뒤늦게 사과하는 일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최근에는 MBC기자의 전용기 탑승 배제로 또 갈등을 빚었고요.<br><br>두 달 동안 갈등이 계속 쌓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윤 대통령이 악의적이라고 한 이유, <br><br>다른 언론과 달리 MBC는 윤 대통령이 실제 발언하지 않은 '미국'이라는 단어를 괄호 속에 넣어 표현했고, 이를 토대로 미국을 욕했다며 미국 백악관에 질의까지 했다는 겁니다.<br> <br>Q. 송 기자가 대통령실 출입하고 있잖아요. 누구 잘못입니까. 우선 MBC는 어떻습니까? <br> <br>이번 출근길 문답 때 벌어진 일을 두고 야당은 과거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도 비교합니다. <br> <br>[짐 아코스타 / CNN 기자 (2018년 11월)] <br>"대통령님(Mr. President), 질문 하나 더 드려도 되겠습니까?"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당시 미국 대통령 (2018년 11월)] <br>"이미 충분한 것 같네요." <br> <br>[짐 아코스타 / CNN 기자 (2018년 11월)] <br>"대통령님, 대통령님. 인턴님(ma'am), 저에게 주세요. 실례합니다만 러시아 스캔들 관련 특검에 대해 우려하고 계신가요?" <br> <br>[도널드 트럼프 / 당시 미국 대통령 (2018년 11월)] <br>"러시아 특검에 대해 어떤 우려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. 모두 거짓말이니까요. 충분한 듯하니 마이크를 내려놓길 바랍니다." <br> <br>4년 전의 일인데, 이 일로 결국 미국 백악관은 CNN 기자의 출입을 제한했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보신 것처럼 기자는 나름 예의를 갖춰 질문하려고 애쓰는 반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화가 난 모습이죠. <br> <br>이 CNN기자는 '미스터 프레지던트'라는 호칭을 계속 사용했고, <br> <br>마이크를 뺏으러 온 인턴 직원에게도 매앰(Madam)이라는 호칭을 씁니다. <br> <br>그런데 윤 대통령과 MBC 기자 사이 공방에서 태도는 미국과 좀 다릅니다. <br> <br>기자가 오히려 화를 내는 모습인데요. <br> <br>대통령실이 기자의 태도를 지적하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Q. 그렇다고 대통령실이 국민과 소통을 약속했던 출근길 문답까지 안 하는 건 지나친 거 아닌가요? <br> <br>전용기 탑승 배제도 그렇고, 이번 출근길 문답 중단도 그렇고, 취재를 제한한다는 점에서 지나치다고 볼 수 있습니다. <br> <br>정정이나 반론보도 청구 등의 수단도 있지만, 감정적인 대응을 하면서 MBC가 마치 탄압을 받는 것처럼 사태를 키운 측면이 있습니다. <br> <br>Q. 가림막도 설치하고 있잖아요. 이건 MBC 사건과는 무관하게 추진되는 거라면서요? <br> <br>먼저 용산 대통령실 청사 1층 구조를 보면서 설명드리겠습니다. <br><br>윤 대통령은 출근하자마자 현관에서 몇 발 걸어들어와서 취재진의 질문을 받아왔죠. <br> <br>기자들이 상주하는 기자실 바로 옆입니다. <br> <br>그런데 이 출근길 문답이 이뤄지는 공간과 가자실 사이에 가벽이 생긴 것입니다. <br> <br>기자실 출입구는 현관 쪽으로 나있지 않기 때문에, 저 가벽 부분을 완전히 봉쇄를 하면 기자들이 드나들 수 없습니다. <br> <br>기자 출입문은 화면에 보이는 계단을 통해 지하 1층으로 내려가면 따로 있습니다.<br> <br>이 조치가 앵커 얘기처럼 출근길 문답과 직접 연관이 있는 것은 아니라는 게 대통령실의 설명입니다. <br> <br>지난 2일 한 방송사가 보안 구역인 대통령실 청사에서 허가 없는 촬영을 했고, 대통령실의 제지에도 계속 이어갔다는 점 때문에 <br>보안, 경호상 이유로 가림막이 필요하다는 건데요. <br> <br>다만 3주가량 지난 일을, 게다가 대통령실의 표현대로 불미스러운 일이 벌어진 시점에 동시에 했다는 점 때문에 소통의 문을 닫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것입니다. <br> <br>Q. 그렇다면 출근길 문답은 언제 재개되는 건가요? 논의되는 게 있습니까? <br><br>대통령실은 "근본적인 재발 방지 대책이 마련되고 더 나은 방식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확신이 서면 그때 재개를 검토하겠다"고 밝혔습니다. <br><br>대통령실에서는 고성을 지른 MBC 기자에 대해 등록 취소, 출입정지, 교체 등 조치를 검토하면서 기자단에 의견을 요구했는데요.<br> <br>대통령실 출입기자 간사단은 징계를 논의할 근거가 없어서 의견을 제시하지 않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이 직접 MBC에 대해 조치를 취할 수도 있지만 아직은 조심스러운 반응입니다.